간단한 정리
list -> 순서가 존재, indexing 존재, mutable(변경 가능)
tuple -> 순서가 존재, immutable(변경 불가)
dict -> 키와 값으로 구성, 중복 불가, 순서x
set -> 키 값으로만 존재, 중복 불가, 순서 x
1. list와 tuple의 차이
list는 인덱스를 지정하여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tuple의 경우 변경이 불가능하다.
ex)
list=[0,'k',[1,2]]
tuple=(1,'k',(1,2))
2. tuple의 기능 unpacking
튜플을 언패킹하여 변수에 값들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ex)
a,b=(1,2)
사용되지 않거나 필요없는 변수는 언더바로 표시가능하다
a, _=(1,2)
변수명 앞에 *표시를 하면 여러개의 값을 갖는 리스트가 된다.
a,*b,c=(1,2,3,4,5)
a => 1
b => [2,3,4]
c => 5
튜플을 이용하여 값 교환이 가능하다
ex)
a,b=b,a
3. dict와 set의 차이
두 타입 모두 중복값을 가지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dict는 key와 value 값만을 지니며
set은 key값만을 지닌다.
4. list와 dict의 in 연산자
in 연산자는 내부에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list의 in은 값을 하나하나 스캔한 후 결과값을 반환하여 list의 값이 커질 수록 연산시간이 오래걸리는 반면
dict의 in은 키값만 찾아내 true,false 만을 반환한다.
따라서 dict의 딕셔너리의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연산의 속도가 일정하다.
'파이썬 > 파이썬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dictionary의 활용 (0) | 2022.12.27 |
---|---|
[파이썬] 문자열에서 특정문자를 바꾸는 방법 (0) | 2022.12.08 |
[파이썬] 리스트의 특징 (0) | 2022.11.28 |
[파이썬] 2차원 리스트 만들기 (0) | 2022.11.28 |
[파이썬] 여러가지 list 만들기 (0) | 2022.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