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와 도메인 이름의 작동 원리 DNS(Domain Name System)은 도메인 이름을 통해 IP주소에 접근하게 해주는 일명 인터넷 전화번호부이다. example.com의 IP주소를 찾는다고 가정해보자 1. 웹 브라우저에 example.com을 입력하게 되면 먼저 local DNS에게 hosts 파일에 example.com 의 IP주소가 있는지 물어보고 없으면 Root DNS의 정보를 받게 된다 더보기 Root DNS란? : 인터넷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루트 존이며 적절한 최상위 도메인에 대해 권한이 있는 네임 서버 목록을 반환함으로써 다른 요청에 응답한다. 2. Root DNS 서버에 도메인의 IP주소를 물어본다. 3. Root DNS 서버로부터 .com을 관리하는 TLD(Top-Level Domain) 서버 정보를 전달 받는다.. 브라우저와 동작 원리 브라우저란 동기(synchronous)적으로 HTML,CSS,Javascript 언어를 해석하여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는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동기적인 이유 > HTML 요소들이 script 로딩 지연으로 인해 렌더링에 지장 받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페이지 로딩 시간이 단축된다. DOM이 완성되기 전에 script가 DOM을 조작한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렌더링 엔진이 아닌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처리한다. => script 태그를 body 태그 하단에 위치시키는 이유 1.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접속한다. 2. DNS를 이용해 IP주소를 파악한다. 3. 브라우저와 서버가 3 way hand shake를 한다. 4. HTTP request를 주고 HTTP response를 받는다 (HTML 서버로 부.. HTTP란 무엇인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HTML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HTTP의 흐름 1. TCP 연결을 연다 TCP 연결은 요청을 보내거나 응답을 받는데 사용된다. 2. HTTP 메시지를 전송한다. HTTP/2 이전 HTTP메시지는 인간이 읽을 수 있지만 HTTP/2에서는 이런 간단한 메시지가 프레임 속으로 캡슐화 되어 직접 읽는게 불가능해졌지만 원칙은 동일하다. 3. 서버에 의해 전송된 응답을 읽어들인다 4. 연결을 닫거나 다른 요청들을 위해 재사용 한다. HTTP 메시지 1. HTTP Response message (요청) Method : 클라이언트가 .. 인터넷의 작동원리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의 IP주소를 지닌다 구글 데이터 센터에는 각 주소의 IP주소가 있고 데이터가 있다. 인터넷은 DNS를 이용해 도메인 주소(ex) youtube)를 IP로 변경한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특정 사람의 전화번호를 찾는 것처럼 인터넷은 IP주소를 받고 데이터 센터에 해당 요청을 하게 된다. 데이터 센터는 광섬유를 통해 디지털 형식으로 정보를 보내준다 (광펄스) 라우터(ex) wifi or 랜선)는 광펄스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더넷마다 라우터가 하나씩은 있음 일반 컴퓨터들이 외부 네트워크와 소통을 할 때는 반드시 라우터를 거치게 됨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해 노트북에 전기신호를 준다. 셀룰러 데이터같은 경우는 기지국으로 전기신호를 보내 기지국에서 전자파를 보내준다. 프로토콜은 세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