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스트는 []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2. 하나의 리스트에 여러 종류의 자료형을 담을 수 있다.
ex)
a=['학생',122017,4.5,True]
3. 리스트는 더하기와 곱하기 연산이 가능하다.
ex)
a=[1,2]
b=[3,4]
c=a+b
c => [1,2,3,4]
d=c*2
d => [1,2,3,4,1,2,3,4]
4. 리스트는 인덱스()와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a[start:stop:step]
start를 입력하지 않으면 0을 입력한 것과 같다.
stop을 입력하지 않으면 리스트의 길이를 입력한 것과 같다.
step을 입력하지 않으면 1을 입력한 것과 같다.
ex)
a=[1,2,3,4,5]
a[1:3]
=>[2,3] #끝 인덱스는 가져오려는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b=[1,2,3,4,5]
b[4:1:-1]
=>[5,4,3]
5. 변경이 가능한 mutable 자료형이라 삽입, 삭제, 정렬이 가능하다.
ex)
삽입
a=[1,2,3]
a.append(5)
a=>[1,2,3,5]
a.insert(4,3) => 5의 값을 3번째 인덱스에 넣겠다.
a=>[1,2,3,4,5]
a.extend([6,7]) => a.extend(range(6,8))도 같은 결과를 낳는다.
a => [1,2,3,4,5,6,7]
삭제
a=[1,2,3,4,5]
del(a[3]) -> 안에 들어가 있는 값의 특정 인덱스 내용을 삭제
a => [1,2,3,5]
del[a] => 리스트 자체를 삭제
정렬
(숫자는 오름차순으로 문자는 대문자 ABCD 이후 소문자 abcd순으로 정렬 sort()는 아스키코드표에 대응하는 숫자로 판단한다.)
a=[3,2,4]
a.sort() => 비슷한 함수인 sorted 함수도 있다 하지만 sorted 함수는 새로운 정렬된 리스트를 반환하고 sort는 리스트 자체를 정렬한다.
a=>[2,3,4]
b=[2,5,4,8]
b.sort(reverse=True) # sort() 함수는 sort(reverse=False)가 디폴트이어서 sort(reverse=True)로 변경하면 리스트가 내림차순이 된다.
b=>[8,5,4,2]
6. in, not in을 사용하여 리스트에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결과는 bool 값으로True, False가 반환된다.
ex)
a=[1,2,3,4,5]
5 in a
>>>True
6.튜플,집합과 같은 다른 자료형을 list()함수를 이용하여 list로 바꿀 수 있다.
7. copy() 함수를 이용해 리스트를 복사할 수 있다.
a=[1,2]
b=a.copy()
b => [1,2]
'파이썬 > 파이썬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에서 특정문자를 바꾸는 방법 (0) | 2022.12.08 |
---|---|
[파이썬] list, tuple, dict, set의 차이점 (0) | 2022.12.06 |
[파이썬] 2차원 리스트 만들기 (0) | 2022.11.28 |
[파이썬] 여러가지 list 만들기 (0) | 2022.11.28 |
[파이썬] input()과 sys.stdin.readline()의 차이점 (0) | 2022.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