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공부
백준 4673번, if문 not in (미해결)
transfer_kk
2022. 12. 6. 22:30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4673
4673번: 셀프 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www.acmicpc.net
나의 풀이
arr=[1]*(10001)
def checkselfnumber(n):
n=n+sum(map(int,str(n)))
arr[n]=0
for a in range(1,10001):
checkselfnumber(a)
if arr[a]:
print(a)
이 풀이는 런타임 에러가 난 풀이이다.
다른 사람의 풀이 1
def d(n):
return n+sum(map(int,list(str(n))))
self = [True]*10001
for i in range(10001):
q = d(i)
if q < 10001:
self[q] = False
for i in range(10001):
if self[i]:
print(i)
내 풀이와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이 풀이는 런타임에러가 나지 않은 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q=d(i)를 굳이 왜 했을까 잠깐 생각해보았는데 계속 d(i)를 사용하게 되면 d()함수를 계속 호출하여 사용해야하므로 q를 사용한 것이었다.
다른 사람의 풀이를 참고해서 제출한 풀이
def checkselfnumber(n):
n=n+sum(map(int,str(n)))
return n
noSelfNumber=set()
for i in range(1,10001):
noSelfNumber.add(checkselfnumber(i))
for i in range(1, 10001):
if i not in noSelfNumber:
print(i)
checkselfnumber()함수를 이용해 noSelfNumber라는 set에 셀프넘버가 아닌 수를 담았고 if문에서의 not in을 이용해 1부터 10001까지의 수 중 noSelfNumber가 아닌 즉 셀프넘버를 출력하는 함수이다.